우리 몸 어딘가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다양한 만큼 그 효과나 부작용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약제에는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과 NSAIDS 계열의 약제(아스피린,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셀레콕시브 등)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오늘은 타이레놀과 아스피린이 어떻게 다른 지 살펴보겠습니다.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적응증
-가벼운 통증
-발열
장점
단점
- 많은 일반의약품 및 처방약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너무 많이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
요약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은 해열작용과 경미한 통증 완화 기능이 있는 일반의약품입니다. 하지만 염증과 붓기에는 효과가 적습니다.
아스피린
적응증
-두통, 근육통, 생리통, 관절염과 같은 경미한 통증 완화
-발열
장점
단점
부작용 및 주의사항
요약
아스피린은 경미한 상처 및 질환으로 인한 발열 및 통증 완화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의약품입니다. 또한 저용량(80mg)의 아스피린은 심장 보호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사용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요약 비교
아스피린 |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 |
두통 | O(하지만 효과적이진 않습니다.) | O |
발열 | O | O |
생리통 | O | O |
항염 효과 | O | X |
심장 마비 및 뇌졸중 예방 | O | X |
어린이에게 사용 | X | O |
관절염 | O(하지만 장기적으로 안전하지는 않습니다.) | O |
해열 혹은 진통을 목적으로 처방을 할 때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을 일반적으로 먼저 권장합니다. 이때 성인 기준 4~6시간마다 1~2알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타이레놀만으로 효과가 없거나, 증상이 비교적 심하다면 NSAIDS 계열의 약제를 바로 처방합니다. NSAIDS 중 아스피린도 물론 사용할 수 있지만 출혈의 위험성과 같은 부작용 때문에 복용에는 유의해야 합니다.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의약품 정보
약학정보원
'Compare Aspirin vs Tylenol' by GoodRxHealth
소염진통제(세레콕시브,나프록센,이부프로펜)의 심혈관 안전성 비교
결론: 적정량(200mg)의 세레콕시브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진 다른 두 소염진통제와 비교했을 때 심혈관 위험성이 더 크다고 보기 힘들다. 소염진통제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의약품
deserts95.tistory.com
타이레놀과 이부프로펜 같이 먹어도 괜찮을까
감기 몸살이 있거나 두통이 있을 때 가장 먼저 찾는 약이 바로 해열진통제입니다. 하지만 해열진통제라고 모두 똑같은 약은 아닙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deserts95.tistory.com
심혈관질환에서의 아스피린 적정 용량
결론: 심혈관 질환 환자가 아스피린을 매일 81mg 먹든, 325mg을 먹든 그 효과나 출혈 가능성은 비슷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복용 순응도가 좋은 81mg을 먹는 것이 좋다. 아스피린은 심혈관 질환이
deserts95.tistory.com
'약,건강에 좋은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피린 그냥 먹어도 괜찮을까 (44) | 2022.11.22 |
---|---|
위산분비억제제 파모티딘과 오메프라졸 비교 (39) | 2022.11.20 |
당뇨와 옥수수 (54) | 2022.11.18 |
당뇨와 감자 (51) | 2022.11.14 |
당뇨와 오렌지, 귤 (27)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