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나 한 번쯤은 속이 쓰린 경험이 있을 겁니다. 속이 쓰릴 경우 우리는 위장약을 먼저 찾습니다. 하지만 위장약이라고 다 같은 약은 아닙니다. 위장약의 범주에는 소화제, 진경제, 위산분비 억제제 등으로 나뉩니다. 이 중에서 속이 쓰린 경우는 대개 과도한 위산 분비로 인한 경우입니다. 이 경우 우리가 복용해야 하는 약제는 위산 분비를 억제해주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으로 H2차단제(H-2 blocker), 프로톤펌프억제제(PPI), 항콜린제, 항가스트린제 등이 있습니다.
위산 분비 문제는 위궤양, 위식도 역류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흔히 쓰는 약제로 H2차단제와 프로톤펌프억제제가 있습니다. H2차단제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의 효과를 차단하여 위산 생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프로톤펌프억제제는 위 내벽의 양성자 펌프를 직접 차단하여 위산 생선을 중단하는 식으로 작용합니다.
H2차단제 중 대표적인 약물이 파모티딘입니다. 그리고 프로톤펌프억제제의 대표적인 약물은 오메프라졸입니다. 과연 이 두 약제는 어떻게 다른 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모티딘

적응증
• 위궤양
• 속쓰림
장점
단점
부작용 및 위험
요약
파모티딘(H2차단제)은 위산을 분비 감소를 유발해 위궤양 등을 예방합니다. 또한 위산 역류로 인한 속 쓰림을 완화하고 과도한 위산 분비를 유발하는 다른 상태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효과는 다른 위산억제제에 비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오메프라졸

적응증
• 위궤양
• 속쓰림
장점
단점
부작용 및 위험
요약
약물 사용 비교
파모티딘 | 오메프라졸 | |
약물 종류 | H2 차단제 | 양성자펌프억제제(PPI) |
약물의 형태 | 정제 정제(씹을 수 있음) 분말 |
캡슐 정제 분말 |
표준 복용량 | 십이지장 궤양: 40 mg 1일 1회 또는 20 mg 1일 2회 최대 8주 동안 GERD: 20 mg 1일 2회 최대 6주 동안 미란성 식도염: 20 mg 또는 40 mg 1일 2회 최대 12주 동안 투여량은 치료 중인 상태에 따라 다름 |
십이지장 궤양: 최대 4주 동안 1일 1회 20 mg GERD: 최대 4주 동안 1일 1회 20 mg 미란성 식도염: 1일 1회 20 mg 투여량은 치료 중인 상태에 따라 다름 |
일반적인 치료 기간 | 최대 6주 또는 8주 이상 | 4~8주 또는 그 이상 |
일반적으로 누가 약물을 사용합니까? | 성인, 어린이 및 유아 | 성인, 어린이 및 유아 |
파모티딘과 오메프라졸 중 어떤 것이 더 좋나요?
오메프라졸은 파모티딘보다 더 효과적인 약물입니다. 오메프라졸은 또한 파모티딘보다 효과가 오래 지속되며, 파모티딘과 달리 매일 복용할수록 효과가 증가합니다.그러나 오메프라졸은 장기간 사용 시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복용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오메프라졸의 부작용 및 효과를 보완한 에스오메프라졸을 더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 약을 함께 복용해도 되나요?
오메프라졸과 파모티딘의 약물 상호작용은 없습니다. 그래서 오메프라졸과 파모티딘을 매일 함께 복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PI(오메프라졸 등)만으로 위궤양, 위식도 역류질환 등의 소화 장애를 치료하는 데 충분합니다. 하지만 밤에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파모티딘을 추가로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파모티딘과 오메프라졸을 병용하는 것이 파모티딘이나 오메프라졸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위산 조절에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오메프라졸의 지속 효과가 파모티딘의 상대적으로 빠른 효과를 보완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러나 오메프라졸과 파모티딘의 무조건적인 병용은 조심스러운 입장이었습니다.
이 약제들은 위궤양,역류성 식도염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다른 약제와 더불어 위장 부작용을 예방 차원에서 복용하기도 합니다. 복용에 주의를 한다면 큰 문제 없이 복용할 수 있는 약제들입니다. 미묘한 차이를 인지하고 약제를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출처
약학정보원
'Can famotidine and omeprazole be combined on a once-daily basis?' by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Famotidine vs omeprazole:Differnces,similarities,and which is better for you' by singlecare
'Compare Famotidine vs omeprazole' by GoodRxHealth
아스피린과 타이레놀 비교
우리 몸 어딘가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다양한 만큼 그 효과나 부작용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약제에는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deserts95.tistory.com
복통의 원인 및 어떤 경우에 병원에 가봐야 할까?
누구나 살면서 한번쯤은 복통을 경험합니다. 복통은 원인에 따라 배가 아픈 위치, 아픈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배가 짓누르듯이 아플 수도 있고,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날 수 도
deserts95.tistory.com
'약,건강에 좋은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토바스타틴과 심바스타틴 (21) | 2022.11.25 |
---|---|
아스피린 그냥 먹어도 괜찮을까 (44) | 2022.11.22 |
아스피린과 타이레놀 비교 (35) | 2022.11.19 |
당뇨와 옥수수 (54) | 2022.11.18 |
당뇨와 감자 (51) | 2022.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