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로슈바스타틴이 아토바스타틴에 비해 LDL 감소 및 HDL 증가는 더 효과적이지만, 죽상동맥경화증에는 비슷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스타틴은 현대의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약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중요한 약인데요. 대표적인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 중 하나입니다.아, 이제는 콜레스테롤 약이라기보단 동맥경화 용제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합하겠네요. 결국 혈관의 찌꺼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지만요.
이렇듯 큰 부작용 없이 심혈관 질환을 예방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여전히 각광받고 있는 약입니다. 그만큼 종류도 다양한데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아토바스타틴과 로슈바스타틴입니다.이 두 약은 많은 연구에서 그 효과가 입증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두 약을 비교했는 연구는 의외로 드문데요. 오늘은 이 두 약의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1039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104 동안 추적 관찰을 하였으며, 두 군으로 나뉘어 진행했습니다.
A군(519명)에는 아토바스타틴 80mg을 매일 주었고, B군(520명)에는 로슈바스타틴을 40mg을 주었습니다. 이 용량은 일반적으로 복용할 수 있는 최대 용량입니다.두 약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 및 안전성과 부작용 등을 비교했습니다.
실험 결과, 우선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로슈바스타틴(62.6) vs 아토바스타틴(70.2)으로 로슈바스타틴 군에서 더 낮아졌습니다.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의 경우 50.4 vs 48.6으로 로슈바스타틴군에서 더 높아졌습니다.
동맥경화증의 억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PAV(혈관 내 죽상반 의비율)는 아토바스타틴(-0.99) 보다 로슈바스타틴(-1/22) 군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습니다. TAV(죽상반의 총 부피) 역시 로슈바스타틴(-6.39)에서 아토바스타틴(-4.42) 보다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두 약 다 동맥경화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두 군 모두에서 부작용은 예상 범위 내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두 약을 복용한 군 모두에서 죽상동맥경화증 억제에 상당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비록 로슈바스타틴 군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는 더 잘 조절되었지만, 질환에 대한 억제력 자체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도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어떤 스타틴(콜레스테롤 약)이 가장 좋을까
결론: 로슈바스타틴이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흔히 콜레스테롤 수치를 이야기 할 때 4가지 항목을 중요시 여깁니다.총 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HDL(좋은 콜레스테롤)
deserts95.tistory.com
콜레스테롤 약이 암 사망률을 낮춘다고...?
결론: 스타틴(콜레스테롤 약)은 암 관련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흔히 콜레스테롤 약이라고 알려져 있는 스타틴은 실제 임상에서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deserts95.tistory.com
'NEJM > 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먹는 음식이 심혈관 질환과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 (9) | 2022.07.25 |
---|---|
심혈관질환에서의 아스피린 적정 용량 (9) | 2022.07.24 |
코로나 백신과 심근염 (5) | 2022.07.21 |
오메가-3, 심혈관질환 및 암을 예방할 수 있을까 (6) | 2022.07.18 |
심방 세동 초기의 리듬 조절 치료,효과가 있을까 (1)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