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65세 이상에서 니르마트렐비르 사용 시, 코로나로 인한 입원율 및 사망률이 크게 낮아졌다. 하지만 젊은 성인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2020년 유행했던 코로나가 아직까지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2년이라는 기간 동안 많은 제약 회사들이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열을 올렸습니다. 백신에 관해서는 다들 잘 알고 계시지만, 혹시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가 이미 개발되어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화이자에서 만든 팍스로비드입니다. 팍스로비드는니르마트렐비르와 리토나비르를 함께 복용하게 만든 약이며 투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12월 22일 FDA에서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로서 긴급 승인을 받은 팍스로비드는 고위험군(면역저하자, 노인 등)에 투여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때는 델타 변이 때였으며, 새롭게 올해 들어 오미크론이 유행하면서 이 약이 오미크론에도 효과가 있는지는 연구가 불충분한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팍스로비드의 핵심 성분인 니르마트렐비르가 오미크론에도 효과적이었는 지를 확인한 연구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오미크론이 한창 유행할 때 진행된 이 연구는 총 109,254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이 중3902명(4%)은 적어도 한 번 이상 니르마트렐비르를 복용했습니다. 나머지 105,352명은 니르마트렐비르를 복용하지 않았습니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0세였으며, 이 중 39%가 65세 이상이었습니다. 여성 비율은 60%였습니다. 40~50%에서 비만, 고혈압, 당뇨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78%가 이전 코로나 감염력 및 백신 등을 통해 면역이 있는 상태였습니다. 평가 기준은 코로나로 인한 입원이었으며, 추가로 코로나로 인한 사망률 또한 비교했습니다.
니르마트렐비르 복용 군 3902명 중 65세 이상은 2484명, 40~64세는 1418명이었습니다. 주로 65세 이상 및 암, 면역저하 자군에서 니르마트렐비르 복용 비율이 높았습니다. 반면 면역력이 없는 군에서는 복용 비율이 매우 낮았습니다.
연구 과정에서 연령대(40~64세 vs 65세 이상) 간의 효과의 차이가 있어 구분해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65세 이상(42,821명)에서 코로나로 인한 입원은 니르마트렐비르 복용 군에서 11명(14.7건/10만 명), 복용하지 않은 군에서 766명(58.9건/10만 명)이었으며, 위험비는 0.27(1보다 낮을수록 복용 군에서 입원율이 낮음)로 나타났습니다. 40~64세에서는 니르마트렐비르 복용 군에서 7명(15.2건/10만 명), 복용하지 않은 군에서 327명(15.8건/10만 명)이었으며, 위험비는 0.74로 나타났습니다. 즉, 65세 이상에서 니르마트렐비르 복용 시 코로나로 인한 입원율이 상당히 낮아졌습니다. 반면 40~64세에서는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면역력 여부(이전 코로나 감염력, 백신 접종 등)에서도 결과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니르마트렐비르 복용 군 중 65세 이상에서 코로나로 인한 입원 위험비는 이전 면역이 있는 군에서 0.32, 면역이 없는 군에서 0.15로 나타났습니다. 40~64세 이상에서는 이전 면역이 있는 군에서 1.13, 면역이 없는 군에서 0.23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65세 이상에서는 면역 여부와 관계없이 효과가 있었으며, 40~64세 군에서는 면역이 있는 군에서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사망률에서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65세 이상에서 코로나로 인한 사망 위험비 0.21(복용 군 2/2484명, 복용 안 한 군 158/40,337명), 40~64세에서1.32(복용 군 1/1418명, 복용 안 한 군 16/65,015명)로 나타났습니다. 즉, 65세 이상에서만 역시 코로나로 인한 사망이 크게 낮아졌습니다.
결과적으로 65세이상에서 니르마트렐비르 복용 시 코로나로 인한 입원율 및 사망률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 연구는 델타 변이뿐 아니라 오미크론에서도 이 약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젊은 연령층에서는 효과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모두 코로나 조심하시기 바라며, 오늘도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02.gif)
말라리아 약은 정말 코로나 치료에 도움이 될까
결론: 입원 중인 코로나 환자에게 말라리아 약(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써도 효과는 미비했다. 코로나가 한창 절정이던 2020년 수 많은 기존의 약제가 코로나 치료제로서 부각되었습니다. 그중
deserts95.tistory.com
구충제(이버멕틴), 코로나에 효과 있을까
결론:코로나 감염 초기에 이버멕틴을 사용해도 큰 효과는 없었다 한 동안 코로나를 잊고 살았는 데, 다시 재감염이 유행하기 시작했네요.. 백신은 또 맞기 싫고..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코
deserts95.tistory.com
'NEJM > 전세계적 감염(코로나,원숭이 두창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화이자 접종, 분명 효과는 있었지만... (28) | 2022.11.12 |
---|---|
모더나 2가 백신의 효과 및 안전성 (67) | 2022.10.21 |
노바백스 백신의 효용성 및 안전성 (90) | 2022.08.04 |
코로나 추가 접종, 이전과 동일한 vs 다른 종류의 백신 (62) | 2022.08.02 |
말라리아 약은 정말 코로나 치료에 도움이 될까 (36) | 2022.07.28 |